부산광역시교육청디지털 리터러시학습 모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서 가장 핵심은 디지털 환경에서의 의사소통, 협업, 연구 그리고 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참여의 과정를 위해서는 미디어(글, 오디오, 이미지, 동영상 등)와 디지털 기술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지식이 없다면 디지털 환경에서의 의사소통, 협업, 정보 찾기, 연구, 문제 해결 등을 위해 바람직한 미디어와 기술을 선택하기 어려워 어떻게 참여해야 할지 모르게 됩니다.  따라서, 부산광역시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모델은 교수 및 학습 과정에 학습자들이 미디어와 디지털 기술에 대해 지식을 갖추고 디지털 환경에서 적절한 미디어와 디지털 기술을 선택하여 참여하는 학습 모델을 제시합니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향상을 위한 중요 요소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을 위한 최적의 환경은 컴퓨터(휴대폰, 태블릿, PC 등)와 인터넷이 지원되고 학습자들이 함께 공부하는 수업 환경입니다. 이러한 컴퓨터 지원 환경에서 교사, 동료 학습자 그리고 학습 자료의 도움을 받아 미디어와 디지털 기술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이 지식은 디지털 리터러시의 영역들에 참여하기 위해 적절한 미디어와 디지털 기술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디지털 리터러시의 실행에 참여할 때 길러집니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향상을 위한 세 가지 중요 요소를 바탕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영역에의 참여를 강조하는 학습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산시교육청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부산시교육청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부산시교육청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서 성취기준

부산시교육청 중학교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서(오정훈, 박영민, 이성철, 김성율, 2021) 교육과정안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서 교육과정안

성취기준의 핵심 용어 정의

  • 미디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형태로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등을 가리킨다.
  • 디지털 기술: 위에서 정의한 미디어를 전달하는 도구로서 웹, 유튜브, 인터넷, 컴퓨터 등을 가리킨다.
  • 디지털 플랫폼: 제공자와 소비자 혹은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거래를 촉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을 일컫는 말로 YouTube, 네이버 블로그, Thingiverse 등이 이에 해당한다.
  • 디지털 창작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미디어와 기술을 이용하여 표현해 낸 것으로 웹페이지, 디지털 문서, 디지털 슬라이드, AR 콘텐츠, VR 콘텐츠, 메타버스 애셋(asset), 3D modeling 콘텐츠 등이 이에 해당한다.
  • 공유(게시, 퍼블리싱): 게시(퍼블리싱)란 완성된 디지털 창작물들을 불특정의 다수 혹은 특정인들과 공유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09디리01-01] 디지털 공간에서 안전, 보안, 책임을 이해한다.

[09디리01-02] 디지털 공간에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활동을 설명한다.

[09디리01-03] 디지털 공간에서 개인정보 보호와 저작권 보호 방법을 설명한다.

[09디리01-04] 디지털 공간의 특성을 이해하고, 디지털 시민성을 설명한다.

♣ [참고] 부산시교육청의 (클릭)디지털 리터러시 확대 성취 기준(오정훈, 박영민, 이성철, 김성율, 2020)은 지식-선택-참여/제작(활용)으로 구분하여 성취기준을 상세하게 제시한다.  부산시교육청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서 역시 확대 성취 기준의 내용을 담고 있으나 교육과정 해설에서는 위의 네가지 핵심만을 주요 성취기준으로 제시하였다.

[09디리02-01] 상황과 목적에 맞는 검색엔진을 선택하고, 적절한 검색어를 사용할 수 있다.

[09디리02-02] 가짜 정보 구별법을 이해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09디리02-03] 데이터 수집을 위해 디지털 기반의 설문지를 제작하고 배포할 수 있다.

[09디리02-04] 디지털 기반의 설문지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할 수 있다.

♣ [참고] 부산시교육청의 (클릭)디지털 리터러시 확대 성취 기준(오정훈, 박영민, 이성철, 김성율, 2020)은 지식-선택-참여/제작(활용)으로 구분하여 성취기준을 상세하게 제시한다.  부산시교육청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서 역시 확대 성취 기준의 내용을 담고 있으나 교육과정 해설에서는 위의 네가지 핵심만을 주요 성취기준으로 제시하였다.

[09디리03-01] 디지털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미디어와 디지털 기술의 특징과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09디리03-02] 다양한 방식의 디지털 미디어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하고 전달할 수 있다.

[09디리03-03] 디지털 협업을 위한 디지털 기술의 특징과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09디리03-04] 디지털 미디어 혹은 디지털 창작물을 공동 제작하기 위한 디지털 협업 활동을 할 수 있다.

♣ [참고] 부산시교육청의 (클릭)디지털 리터러시 확대 성취 기준(오정훈, 박영민, 이성철, 김성율, 2020)은 지식-선택-참여/제작(활용)으로 구분하여 성취기준을 상세하게 제시한다.  부산시교육청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서 역시 확대 성취 기준의 내용을 담고 있으나 교육과정 해설에서는 위의 네가지 핵심만을 주요 성취기준으로 제시하였다.

[09디리04-01] 디지털 콘텐츠를 만드는 과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09디리04-02]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표시방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09디리04-03] 기존의 디지털 미디어 혹은 디지털 창작물을 변형, 혼합, 재구성할 수 있다.

[09디리04-04]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과 공유 과정에서 올바른 인용 및 공유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참고] 부산시교육청의 (클릭)디지털 리터러시 확대 성취 기준(오정훈, 박영민, 이성철, 김성율, 2020)은 지식-선택-참여/제작(활용)으로 구분하여 성취기준을 상세하게 제시한다.  부산시교육청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서 역시 확대 성취 기준의 내용을 담고 있으나 교육과정 해설에서는 위의 네가지 핵심만을 주요 성취기준으로 제시하였다.

[09디리05-01]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09디리05-02] 컴퓨팅 사고력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09디리05-03]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화한 프로토타입을 만들 수 있다.

[09디리05-04]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디지털 기술이 일상생활의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는지 설명할 수 있다.

♣ [참고] 부산시교육청의 (클릭)디지털 리터러시 확대 성취 기준(오정훈, 박영민, 이성철, 김성율, 2020)은 지식-선택-참여/제작(활용)으로 구분하여 성취기준을 상세하게 제시한다.  부산시교육청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서 역시 확대 성취 기준의 내용을 담고 있으나 교육과정 해설에서는 위의 네가지 핵심만을 주요 성취기준으로 제시하였다.